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백반집 계란장조림 레시피

by johnsday6 2025. 9. 8.
반응형

백반집 계란장조림 레시피

 

 

따끈한 밥에 반 쪽 올리고, 간장국물 한 숟가락 휘—. 그 짭짤달달한 밥도둑, 계란장조림입니다. 이 글은 영상 속 핵심 포인트를 집에서 바로 성공할 수 있도록 정리한 완성 가이드예요. 껍질이 깨끗이 벗겨지는 삶는 법, 멸치·다시마로 깊게 우려낸 조림장, 꽈리고추·통마늘 타이밍, 간 맞추기와 보관법, 그리고 실패 방지 체크리스트까지 모두 담았습니다.

 

 

🔗 정보 링크
👉 백반집 계란장조림 레시피 정보보기

 


한눈에 보는 레시피 하이라이트

  • 핵심 비율: 물 3컵 + 진간장 ½컵(100ml) + 국간장 1큰술 + 미림 3큰술 + 설탕 2큰술
  • 향미 베이스: 멸치 한 줌 + 다시마 5g → 중불 10분
  • 삶은 달걀: 실온 2–3시간 빼두기 → 물 끓기 직전 투입 → 중불 8분찬물 냉침
  • 조림 과정: 달걀 투입 후 뚜껑 덮고 10분 → 꽈리고추·통마늘 넣고 중약불 5분
  • 마무리: 들기름 ½큰술 + 통깨 톡톡, 반으로 썰어 국물 끼얹기

재료 준비 (약 4–6인분, 밑반찬 2–3일 분량)

  • 달걀 12개
  • 물 3컵(종이컵 기준)
  • 멸치 한 줌(전자레인지 20초 돌려 비린내 제거)
  • 다시마 5g
  • 진간장 ½컵(100ml)
  • 국간장 1큰술(없으면 진간장으로 대체 가능, 소금 한 꼬집로 가감)
  • 미림 3큰술
  • 설탕 2큰술(원당·백설탕 상관없음)
  • 꽈리고추 7개(반으로 가르기)
  • 통마늘 10알
  • 식초 1큰술(삶는 물 살균/비린내 억제용)
  • 들기름 ½큰술, 통깨 약간

선택: 생강편 2–3쪽(잡내 제거), 후추 약간(마무리 풍미)


성공률 99%를 만드는 계란 삶는 법(껍질 깨끗이 벗기기)

  1. 실온 2–3시간: 달걀을 냉장고에서 미리 꺼내 실온으로 맞춥니다. (껍질 잘 벗겨짐)
    • 너무 신선한 달걀(산란 후 바로)은 껍질이 유독 안 벗겨집니다. 상온 하루 두었다가 사용하면 훨씬 수월해요.
  2. 물 끓기 직전 투입: 팔팔 끓이기 직전 온도에서 달걀을 조심히 넣습니다(계란 터짐 방지).
    • 식초 1큰술을 물에 넣어 살균 + 비린내 억제.
  3. 노른자 가운데 잡기: 나무 숟가락으로 한 방향으로 천천히 저어주면 노른자가 중앙에 위치합니다.
  4. 중불 8분: 장조림용은 완숙 직전이 가장 촉촉합니다(너무 오래 삶지 않기).
  5. 즉시 찬물 샤워: 삶아낸 즉시 찬물에 담가 열을 빼고 완전 식힌 뒤 껍질을 까세요.
    • 물속에서 까면 매끈하게 떨어져요.

**그레이 링(노른자 테두리 회색)**이 생기면 과하게 익힌 것. 8분을 지키면 예쁜 단면을 얻습니다.


조림장 만들기(육수부터 양념까지 한 번에)

  1. 냄비에 물 3컵 + 멸치 한 줌 + 다시마 5g를 넣고 끓입니다.
    • 전자레인지 20초 돌린 멸치는 비린내를 줄여줘요.
  2. 끓기 시작하면 중불 10분 더 끓여 감칠맛을 뽑아냅니다.
  3. 진간장 ½컵(100ml) + 국간장 1큰술 + 미림 3큰술 + 설탕 2큰술을 넣어 휘리릭 섞습니다.
    • 달짝하지만 짭조름해야 밥 비빌 때 딱 맞아요.
  4. 멸치·다시마 건짐: 쓴맛 방지. 맑고 진한 간장 베이스만 남깁니다.

본조림: 달걀→채소 순으로 베이기

  1. 껍질 벗긴 달걀 12개를 조림장에 투입. 끓어오르면 뚜껑을 덮고 가스불 약간 줄여 10분.
    • 이때 국물이 달걀 표면을 데우며 색과 간이 서서히 들어갑니다.
  2. 꽈리고추(반 자르기) 7개 + 통마늘 10알 투입.
    • 고추는 아래로 잠기게 눌러 주세요(국물 접촉 면적↑).
    • 중약불 5분 추가 조림.
  3. 불 끄고 여열 5분 두면 간이 속까지 더 스며듭니다.

TIP 국물은 조금 남겨두세요. 밥비빔/비빔면/두부조림 등에 요긴합니다.


플레이팅 & 풍미 증폭 마무리

  1. 달걀은 반으로 가르기(단면이 보이면 식욕 ↑, 간도 빨리 밴다).
  2. 접시에 달걀을 세팅 후 조림장 국물위에서 두세 숟갈 끼얹기.
  3. 들기름 ½큰술 가볍게 두르고 통깨 톡톡.
  4. 꽈리고추·통마늘을 토핑처럼 올려 색감·식감·향을 잡습니다.

간 맞추기 가이드(짭·단·감칠맛 3요소)

  • 짭조름 부족진간장 1~2작은술 추가(끓이며 가감)
  • 단맛 부족 → 설탕 ½–1큰술(또는 물엿 1큰술)
  • 감칠 부족 → 다시마 한 조각 3–4분만 추가 끓임(오래 끓이면 떫어짐)
  • 너무 짜다 → 물 3–4큰술 추가 + 1–2분 더 끓여 밸런스

**첫 숟갈은 ‘살짝 짭짤’**해야 밥과 섞여 딱 맞습니다.


보관·숙성·데우기

  • 보관: 완전히 식힌 뒤 **밀폐용기(유리 권장)**에 담아 냉장 2–3일.
  • 숙성: 하룻밤 지나면 색·간이 더 예쁘게 올라옵니다.
  • 데우기: 전자레인지 ‘약하게 20–30초’ 또는 조림장 국물 한 숟갈 뿌려 팬에 약불 1분.
  • 냉동 비권장: 삶은 달걀은 해동 시 수분 이탈로 퍽퍽해져요.

실패 방지 체크리스트

  • □ 달걀 실온 2–3시간(껍질 잘 벗김)
  • 물 끓기 직전 투입 + 중불 8분 + 즉시 찬물
  • □ 멸치·다시마 건져내기(쓴맛 방지)
  • □ 달걀 10분, 채소 5분 조림 타이밍 구분
  • □ 마무리 들기름·통깨로 고소함 상승

맛 응용 6가지(밥상 활요)

  1. 국물 비빔밥: 달걀 반쪽 + 장국 1½숟갈 + 김가루 + 참기름 약간.
  2. 비빔국수: 소면 삶아 헹군 뒤 장국 2숟갈 + 식초 1작은술 + 고춧가루 ½작은술.
  3. 두부조림: 두부 굽고 장국 2–3숟갈 둘러 1분 조림.
  4. 버섯추가 버전: 느타리·양송이를 함께 넣어 5분 조림(식감·감칠맛↑).
  5. 메추리알 장조림: 달걀 30–40개로 대체, 조림 시간 각 2–3분 단축.
  6. 매콤 업그레이드: 청양고추 1–2개 추가 + 후추 톡.

자주 묻는 질문(FAQ)

Q. 국간장 없어요.
A. 진간장으로 대체하고, 모자란 감칠맛은 다시마 1조각 3분 보충 끓임으로 커버하세요.

Q. 미림 대신 뭘 쓰나요?
A. 맛술/청주로 대체. 없으면 설탕을 ½작은술 더하고, 버블이 죽을 때까지 1–2분 더 끓여 알코올 비린내 제거.

Q. 너무 달아요/짜요.
A. 달면 물·간장 1:1로 소량 희석해 1–2분 끓이기. 짜면 물 3–4큰술 + 설탕 한 꼬집으로 밸런스.

Q. 비린내가 나요.
A. 멸치는 전자레인지 20초 필수, 삶는 물에 식초 1큰술. 들기름·후추 한 꼬집도 잡내에 도움.

Q. 껍질이 울퉁불퉁하게 벗겨져요.
A. 실온화·찬물 냉침이 핵심. 특히 산란 직후 신선란은 하루 두었다가 사용하세요.


영양·건강 포인트

  • 달걀 1개(중란) 기준 단백질 6–7g. 근력 식단·어린이 도시락에 제격.
  • 나트륨이 있는 조림이라 국물 과다 섭취는 줄이고, 국물은 조미료처럼 활용하면 좋아요.
  • 꽈리고추·마늘은 항산화·항균 작용에 도움, 고기반찬 옆 밸런스 메이커로 훌륭합니다.

10분 완성 요약 레시피 카드

  1. 달걀 준비: 실온 2–3시간 → 물 끓기 직전 투입(식초 1T) → 중불 8분 → 찬물 냉침·껍질 까기
  2. 조림장: 물 3C + 멸치 한 줌 + 다시마 5g(10분) → 진간장 ½C + 국간장 1T + 미림 3T + 설탕 2T
  3. 조림: 멸치·다시마 건짐 → 달걀 12개 투입, 뚜껑 10분 → 꽈리고추 7개(반) + 통마늘 10알, 중약불 5분
  4. 마무리: 들기름 ½T + 통깨 → 반으로 가르고 국물 끼얹기

마지막 한 숟가락을 더 맛있게

밥 위에 달걀 반쪽 노른자 톡 터뜨리고, 장국 한 숟갈, 들기름 방울 한 점. 김가루 살짝. 숟가락 한 번 휘— 저은 뒤 한 입 크게.
이게 바로 ‘국물까지 쓱쓱 비벼먹는’ 계란장조림의 정답입니다.

기본에 충실한 레시피일수록 디테일(삶는 시간, 실온화, 끓이는 순서, 건더기 타이밍)이 승부처예요. 위 순서만 지키면 **누가 먹어도 “백반집 그 맛!”**이 됩니다. 오늘 저녁, 밥도둑 한 통 담가 두세요. 내일은 더 맛있어집니다.

 

🔗 정보 링크
👉 백반집 계란장조림 레시피 정보보기

 

 

반응형